볼키즈 상식
볼키즈 테니스 가이드를 안내드립니다.
테니스 가이드
01. 테니스코트의 구성
테니스코트는 네트를 중심으로 베이스라인,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등으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02. 테니스 점수 계산법
테니스는 라켓을 이용해 바운드된 공을 상대편 코드로 넘겨야
하는 스포츠입니다.
단, 공이 두 번 이상 땅에 바운드 되면 실점을 하게 됩니다.
시합 도중 공격에 성공하거나 수비에 실패하면 1점을
얻게 되는데, 이때의 점수를 포인트라고 부릅니다.
테니스는 4점, 즉 4포인트를 먼저 득점하는 선수가 1게임을
이기게 되고, 총 6게임을 먼저 얻어야 1세트를 승리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포인트(point) > 게임(game) > 세트(set) > 매치(match)
순으로 점수를 계산합니다.
참고로 정식 시합에서는 남자는 5세트, 여자와 주니어는
3세트로 1경기(매치)가 이루어집니다.
경기(매치)에서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남자단식의 경우는
5세트 중 3세트를 먼저 이겨야 하고, 여자단식과 혼합복식은
3세트 중 2세트를 이겨야 승자가 됩니다.
03. 포인트의 명칭
테니스 경기를 본 사람이라면 경기 중 ‘러브’, ‘피프틴’, ‘포티’라고
외치는 소리를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입니다.
테니스의 점수를 부르는 방법은 다른 스포츠 경기와 차이가
있습니다.
앞서 1점을 1포인트라고 설명 했는데, 0포인트부터
3포인트까지는 부르는 명칭이 따로 있습니다.
포인트는1포인트, 2포인트, 3포인트, 4포인트가 아닌
0점의 경우 러브(LOVE), 1포인트는 피프틴(15), 2포인트는
서티(30), 3포인트는 포티(40)로 부릅니다.
04. 듀스
테니스 경기에는 ‘듀스’가 있습니다. 이는 3대3 (40-40)
포인트가 된 상황을 일컫습니다.
만약 위 상황에서 A라는 선수가 1포인트를 추가 득점해서
4대 3이 된다면, A가 1게임을 이기게 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3대3(40-40), 동점 포인트가 되면 ‘듀스’입니다.
듀스가 된 시점부터는 2점을 연속해서 득점해야 게임을
이기게 됩니다.
포인트 외 게임 상황에서도 역시 2게임 차가 나야 1세트를
승리할 수 있습니다.
05. 타이브레이크
테니스 경기 중 접전 양상으로 인해 게임 스코어가 듀스가
계속 될 경우 ‘타이 브레이크’라는 제도를 적용하게 됩니다.
두 선수가 각각 5게임씩 이겨 5대5가 되면 게임 듀스가 되어
어느 선수이든 2게임을 연속해서 얻어야 승자가 됩니다.
그러나 2게임을 연속해서 이기지 못하고 서로가 1게임씩 이겨
6대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승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듀스 스코어가 6대 6 상황일 때, 마지막 한 게임으로 승패를
가리게 되는 것으로 두 선수가 번갈아 서비스(서브)를 넣어
12포인트 가운데 7포인트를 먼저 얻는 선수가 세트를
이기게 되는 것입니다.
06. 서브
테니스 시합은 서브를 넣는 것으로 시작 됩니다.
서버는 베이스 라인의 뒤쪽에 서서 리시버의 서브 코트로
공을 보내야만 합니다.
처음 시작 할 때의 서브는 오른쪽에서 대각선으로 넣으며,
그 다음 서브는 왼쪽에서 넣습니다.
즉, 득점이 없거나 짝수 득점 일 때는 오른쪽에서,
홀수 득점 일 때는 왼쪽에서 넣습니다.
서브는 1게임이 끝날 때 까지 같은 사람이 계속해서 넣으며,
1게임이 끝나면 상대편 선수에게 서브권이 주어집니다.
서브 시 라인을 밟거나, 라인을 넘어서 서브 했을 때,
서브하기 위해 던져 올린 공을 치지 못하였을 때,
걷거나 달려가서 위치를 변경하며 서브했을 때,
서비스 코트에 들어가지 않았을 때의 경우
폴트(fault)가 되며, 폴트를 2회 하면 더블폴트(double fault)로
1점을 잃습니다.
07. 서비스의 순서 (Order of service)
제1게임이 끝나면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서버는 리시버가 된다.
이와 같이 경기 는 끝날 때까지 매 게임마다 번갈아 가며
바꾸어야 한다.
만일 플레이어가 순서를 잘못해서 서브를 한 경우는
그 잘못이 발견되는 즉시 당연히 서브해야 할 순서의
플레이어가 서브해야 한다.
그러나 잘못이 발견되기 전에 일어난 모든 포인트는 유효하다.
만일 잘못을 발견 하기 전에 게임이 끝났을 때는 서비스의
순서는 변경된 채로 계속된다.
잘못이 발견되기 전의 폴트는 계산에 넣지 않는다.
08. 엔드의 교대 (When play change ends)
플레이어는 각 세트의 제 1, 제 3게임 및 그 후 하나씩 건너
게임이 끝날 때마다 (게임수의 합계가 홀수일 때) 엔드를 교대한다.
또한 그 세트의 게임수의 합이 짝 수일 때는 다음세트의
제1게임이 끝날 때까지 엔드를 바꾸지 않는다.
만약 엔드의 교대가 틀렸을 경우, 플레이어는 잘못이 발견된
즉시 바른 위치로 돌아가 본래의 순서대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09. 체인지 코트 (Change court)
시합을 시작하여 첫 게임이 끝나면 선수들은 서로 코트를
바꾸며, 그 이후는 2게임을 마칠 때마다 코트를 바꿉니다.
즉, 두 선수의 게임 스코어 합이 홀수 일 때
(1:0, 1:2, 3:0, 4:1, 5:0 등)는 코트를 바꿉니다.
10. 플레이어의 휴식시간 (Break time)
엔드체인지 (코트를 바꿀 때)와 세트 후 휴식시간
(Break time) 을 갖는다.
코트를 바꾸면서의 휴식시간은 1분입니다.
게임의 마지막 포인트가 끝난 후, 다음 포인트를 시작하기
전까지 90초의 시간을 가지게 된다.
부상 등 불가피한 이유로 사용하는 메디컬 타임아웃도 포함된다.
각 포인트 사이의 휴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1세트는 총 6게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2게임 이상의 차이로
이겨야 세트를 승리 할 수 있습니다.
1게임 후 엔드체인지 에서는 휴식시간(Break time)이 없습니다.
즉 코트면을 바꾼 후 다음 포인트가 진행되기 까지 30초
걸리게 해서 안된다.
11. 플레이어의 실점 (Player loses point)
시합 중 플레이어는 대표적으로 다음의 상황이 발생 할 경우 실점합니다.
1) 서버가 2개의 서브를 다 실패했을 때
2) 플레이 중 볼이 2번 바운드 되기 전에 네트너머로 리턴하지
못했을 때
3) 플레이 중 리턴이 상대방 코트의 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4) 플레이 중 리턴이 네트에 걸렸을 때
5) 플레이 중 볼이 플레이어의 몸에 닿았을 때
6) 플레이 중 신체의 일부나 라켓이 네트·포스트 등에 닿았을 때
7) 플레이 중 라켓을 던져서 볼을 쳤을 때
위의 사항 외에도 다양한 실점 상황이 발생하지만 주요 사항만
명시하였습니다.
12. 플레이어의 실점 (Player loses point)의 사례
1) 상황 : 서브를 넣을 때 라켓이 서버의 손에서 빠져 날아가
볼이 상대방 서브코트에 떨어지기 전에 네트에 닿았다.
이것이 폴트인가? 서버의 실점인가?
-> 판정 : 이것은 서버의 실점이다.
플레이 중에 라켓이 네트에 닿았기 때문이다
2) 상황 : 서브를 넣을 때 라켓이 서버의 손에서 빠져 날아가
볼이 상대방 서브 코트의 바깥쪽 지면에 떨어진 다음 네트에
닿았다. 이것은 폴트인가? 서버의 실점인가?
-> 판정 : 이것은 폴트이다. 라켓이 네트에 맞았을 때
이미 볼은 아웃오브플레이 상태였기 때문이다.
3) 상황 :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가 네트 위로 넘어 상대 코트에
뛰어들어가도 실점이 안 되는가?
-> 판정 : 플레이어는 실점한다.
볼키즈 상식
볼키즈, 테니스 가이드를 안내드립니다.
테니스 가이드
01. 테니스코트의 구성
테니스코트는 네트를 중심으로 베이스라인, 센터라인, 사이드라인 등으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02. 테니스 점수 계산법
테니스는 라켓을 이용해 바운드된 공을 상대편 코드로 넘겨야 하는 스포츠입니다.
단, 공이 두 번 이상 땅에 바운드 되면 실점을 하게 됩니다.
시합 도중 공격에 성공하거나 수비에 실패하면 1점을 얻게 되는데, 이때의 점수를 포인트라고 부릅니다.
테니스는 4점, 즉 4포인트를 먼저 득점하는 선수가 1게임을 이기게 되고, 총 6게임을 먼저 얻어야 1세트를 승리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포인트(point) > 게임(game) > 세트(set) > 매치(match) 순으로 점수를 계산합니다.
참고로 정식 시합에서는 남자는 5세트, 여자와 주니어는 3세트로 1경기(매치)가 이루어집니다.
경기(매치)에서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남자단식의 경우는 5세트 중 3세트를 먼저 이겨야 하고, 여자단식과 혼합복식은 3세트 중 2세트를 이겨야 승자가 됩니다.
03. 포인트의 명칭
테니스 경기를 본 사람이라면 경기 중 ‘러브’, ‘피프틴’, ‘포티’라고 외치는 소리를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입니다.
테니스의 점수를 부르는 방법은 다른 스포츠 경기와 차이가 있습니다.
앞서 1점을 1포인트라고 설명 했는데, 0포인트부터 3포인트까지는 부르는 명칭이 따로 있습니다.
포인트는1포인트, 2포인트, 3포인트, 4포인트가 아닌 0점의 경우 러브(LOVE), 1포인트는 피프틴(15), 2포인트는 서티(30), 3포인트는 포티(40)로 부릅니다.
04. 듀스
테니스 경기에는 ‘듀스’가 있습니다. 이는 3대3 (40-40) 포인트가 된 상황을 일컫습니다.
만약 위 상황에서 A라는 선수가 1포인트를 추가 득점해서 4대 3이 된다면, A가 1게임을 이기게 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3대3(40-40), 동점 포인트가 되면 ‘듀스’입니다.
듀스가 된 시점부터는 2점을 연속해서 득점해야 게임을 이기게 됩니다.
포인트 외 게임 상황에서도 역시 2게임 차가 나야 1세트를 승리할 수 있습니다.
05. 타이브레이크
테니스 경기 중 접전 양상으로 인해 게임 스코어가 듀스가 계속 될 경우 ‘타이 브레이크’라는 제도를 적용하게 됩니다.
두 선수가 각각 5게임씩 이겨 5대5가 되면 게임 듀스가 되어 어느 선수이든 2게임을 연속해서 얻어야 승자가 됩니다.
그러나 2게임을 연속해서 이기지 못하고 서로가 1게임씩 이겨 6대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승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듀스 스코어가 6대 6 상황일 때, 마지막 한 게임으로 승패를 가리게 되는 것으로 두 선수가 번갈아 서비스(서브)를 넣어
12포인트 가운데 7포인트를 먼저 얻는 선수가 세트를 이기게 되는 것입니다.
06. 서브
테니스 시합은 서브를 넣는 것으로 시작 됩니다.
서버는 베이스 라인의 뒤쪽에 서서 리시버의 서브 코트로 공을 보내야만 합니다.
처음 시작 할 때의 서브는 오른쪽에서 대각선으로 넣으며, 그 다음 서브는 왼쪽에서 넣습니다.
즉, 득점이 없거나 짝수 득점 일 때는 오른쪽에서, 홀수 득점 일 때는 왼쪽에서 넣습니다.
서브는 1게임이 끝날 때 까지 같은 사람이 계속해서 넣으며, 1게임이 끝나면 상대편 선수에게 서브권이 주어집니다.
서브 시 라인을 밟거나, 라인을 넘어서 서브 했을 때, 서브하기 위해 던져 올린 공을 치지 못하였을 때,
걷거나 달려가서 위치를 변경하며 서브했을 때, 서비스 코트에 들어가지 않았을 때의 경우
폴트(fault)가 되며, 폴트를 2회 하면 더블폴트(double fault)로 1점을 잃습니다.
07. 서비스의 순서 (Order of service)
제1게임이 끝나면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서버는 리시버가 된다. 이와 같이 경기 는 끝날 때까지 매 게임마다 번갈아 가며 바꾸어야 한다.
만일 플레이어가 순서를 잘못해서 서브를 한 경우는 그 잘못이 발견되는 즉시 당연히 서브해야 할 순서의 플레이어가 서브해야 한다.
그러나 잘못이 발견되기 전에 일어난 모든 포인트는 유효하다.
만일 잘못을 발견 하기 전에 게임이 끝났을 때는 서비스의 순서는 변경된 채로 계속된다. 잘못이 발 견되기 전의 폴트는 계산에 넣지 않는다.
08. 엔드의 교대 (When play change ends)
플레이어는 각 세트의 제 1, 제 3게임 및 그 후 하나씩 건너 게임이 끝날 때마다 (게임수의 합계가 홀수일 때) 엔드를 교대한다.
또한 그 세트의 게임수의 합이 짝 수일 때는 다음세트의 제1게임이 끝날 때까지 엔드를 바꾸지 않는다.
만약 엔드의 교대가 틀렸을 경우, 플레이어는 잘못이 발견된 즉시 바른 위치로 돌아가 본래의 순서대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09. 체인지 코트 (Change court)
시합을 시작하여 첫 게임이 끝나면 선수들은 서로 코트를 바꾸며, 그 이후는 2게임을 마칠 때마다 코트를 바꿉니다.
즉, 두 선수의 게임 스코어 합이 홀수 일 때(1:0, 1:2, 3:0, 4:1, 5:0 등)는 코트를 바꿉니다.
10. 플레이어의 휴식시간 (Break time)
엔드체인지 (코트를 바꿀 때)와 세트 후 휴식시간 (Break time) 을 갖는다.
코트를 바꾸면서의 휴식시간은 1분입니다.
게임의 마지막 포인트가 끝난 후, 다음 포인트를 시작하기 전까지 90초의 시간을 가지게 된다.
부상 등 불가피한 이유로 사용하는 메디컬 타임아웃도 포함된다.
각 포인트 사이의 휴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1세트는 총 6게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2게임 이상의 차이로 이겨야 세트를 승리 할 수 있습니다.
1게임 후 엔드체인지 에서는 휴식시간(Break time)이 없습니다.
즉 코트면을 바꾼 후 다음 포인트가 진행되기 까지 30초 걸리게 해서 안된다.
11. 플레이어의 실점 (Player loses point)
시합 중 플레이어는 대표적으로 다음의 상황이 발생 할 경우 실점합니다.
1) 서버가 2개의 서브를 다 실패했을 때
2) 플레이 중 볼이 2번 바운드 되기 전에 네트너머로 리턴하지 못했을 때
3) 플레이 중 리턴이 상대방 코트의 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4) 플레이 중 리턴이 네트에 걸렸을 때
5) 플레이 중 볼이 플레이어의 몸에 닿았을 때
6) 플레이 중 신체의 일부나 라켓이 네트·포스트 등에 닿았을 때
7) 플레이 중 라켓을 던져서 볼을 쳤을 때
위의 사항 외에도 다양한 실점 상황이 발생하지만 주요 사항만 명시하였습니다.
12. 플레이어의실점(Player loses point)의 사례
1) 상황 : 서브를 넣을 때 라켓이 서버의 손에서 빠져 날아가 볼이 상대방 서브코트에 떨어지기 전에 네트에 닿았다. 이것이 폴트인가? 서버의 실점인가?
-> 판정 : 이것은 서버의 실점이다. 플레이 중에 라켓이 네트에 닿았기 때문이다
2) 상황 : 서브를 넣을 때 라켓이 서버의 손에서 빠져 날아가 볼이 상대방 서브 코트의 바깥쪽 지면에 떨어진 다음 네트에 닿았다. 이것은 폴트인가? 서버의 실점인가?
-> 판정 : 이것은 폴트이다. 라켓이 네트에 맞았을 때 이미 볼은 아웃오브플레이 상태였기 때문이다.
3) 상황 :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가 네트 위로 넘어 상대 코트에 뛰어들어가도 실점이 안 되는가?
-> 판정 : 플레이어는 실점한다.
호주오픈 기아 볼키즈 선발 프로그램 사무국
사무국 전화 : 1600-8556
사무국 운영시간 : 09:00-18:00
이메일 : 2024kiaballkids@naver.com
Copyright ⓒ kiaballkid ALL RIGHT RESERVED.
호주오픈 기아 볼키즈 선발 프로그램 사무국
사무국 전화 : 1600-8556
사무국 운영시간 : 09:00-18:00
이메일 : 2024kiaballkids@naver.com
Copyright ⓒ kiaballkid ALL RIGHT RESERVED.